데스크탑 컴퓨터의 와이파이 연결 방법
데스크탑 컴퓨터를 사용할 때 인터넷 케이블 없이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하고 싶어하는 사용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노트북과 달리 데스크탑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무선 인터넷 기능이 내장되어 있지 않아 유선 연결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기술의 발전으로 USB 무선 어댑터 하나만 있으면 데스크탑 컴퓨터도 노트북처럼 간편하게 와이파이에 연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USB 무선 어댑터는 설치가 간단하고 가격도 저렴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데스크탑의 인터넷 연결 방식을 유선에서 무선으로 전환하는 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데스크탑 와이파이 연결, USB 하나면 끝! 누구나 쉽게 설정하는 방법
▣ 목록 (LIST) ▣ |
1. 데스크탑에 무선 인터넷이 기본 장착되어 있지 않은 이유
2. 가장 간편한 방법: USB 와이파이 동글 사용
3. 다른 방법: 내장형 무선 랜카드 설치
지금부터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무선 와이파이를 연결하는 가장 쉽고 효율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
별도의 복잡한 설정 없이 USB 방식의 무선 랜카드(와이파이 동글)를 활용하는 법, 설치 과정, 주의사항 등을 순서대로 안내드릴게요.
1. 데스크탑에 무선 인터넷이 기본 장착되어 있지 않은 이유
- 대부분의 데스크탑은 유선 랜 포트만 지원합니다.
- 사무용이나 고정된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무선 기능이 기본으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별도의 장치가 필요합니다.
2. 가장 간편한 방법: USB 와이파이 동글 사용
USB 와이파이 동글은 작은 USB 메모리처럼 생긴 장치로, 이를 데스크탑에 꽂기만 하면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1) 장점
- 드라이버 자동 설치
- 저렴한 가격(1~2만 원대)
- 설치 간편
(2) 사용법
- USB 포트에 동글 꽂기
- 자동으로 드라이버 설치됨
- 화면 우측 하단의 와이파이 아이콘 클릭
- 사용 가능한 와이파이 선택 → 비밀번호 입력
3. 다른 방법: 내장형 무선 랜카드 설치
좀 더 고급스러운 방법으로는 메인보드에 직접 연결하는 PCIe 방식의 무선 랜카드가 있습니다.
설치는 다소 복잡하지만, 신호 안정성과 속도 면에서는 유리합니다.
(1) 장점
- 강한 신호 수신
- 빠른 속도
(2) 단점
- 본체 열고 설치해야 함
- 초보자에게는 어려움
4. 와이파이 설정 단계 요약
- 장치 꽂기 또는 장착
- 드라이버 설치 (자동 또는 제조사 사이트)
- 와이파이 목록 확인
- 비밀번호 입력 후 접속
- ‘자동 연결’ 체크하면 다음부터는 자동 연결
5. 와이파이 연결이 안 될 때 점검 사항
- 드라이버 설치 여부 확인
- 장치 관리자에서 네트워크 어댑터 활성화 여부 확인
- 공유기 신호 확인 및 재부팅
- 방화벽/보안 프로그램 간섭 여부 점검
6. 추천 제품 예시
제품명 | 가격 | 특징 |
---|---|---|
ipTIME N150UA | 저렴함 | 입문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 |
TP-LINK AX3000 Wi-Fi 6 블루투스 5.3 PCle 무선 랜카드 | 3~4만원 대 | WiFi 6 & 블루투스 5.3 지원 |
결론
유선 인터넷만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데스크탑에서도, 이제는 USB 하나만 꽂으면 손쉽게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합니다.
드라이버 자동 설치 기능이 대부분 탑재되어 있어 초보자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설정으로 무선 환경을 구축해보세요. 훨씬 깔끔하고 자유로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질 거예요.
※ 코코 쥬안(Cocojuan) 티스토리 블로그 더 많은 정보 보기 |
⊙ 윈도우 OS 사용법 정리 https://cocojuan.tistory.com/727 ⊙ 윈도우 사용법 | 네트워크, 미러링, 공유폴더, 윈도우 디펜더, 방화벽, 계정, 비밀번호 https://cocojuan.tistory.com/1201 |